여름날 저녁 - 심재휘
 
내가 그 여름을 떠나면서
여름은 언제나 헛된 저녁이었다
저물녘이면 헐렁한 반바지에 슬리퍼를
질질 끌면서 아무렇게나 자란
풀들의 길을 따라
내일을 희롱하며 내가 걷고 있었다 그럴 때면
바람이 터진 기억의 솔기를 자꾸 꿰매며
나를 밀어내는 탓인지 그 때의 들풀 냄새가
나는 듯 할뿐이어서 더욱 손을 내저어 보는데
그럴수록 멀찍이 물러서는
냇물과 산그늘이 있었고
다만 저녁의 푸른 집들만 도드라져서
손 앞에서 잡힐 것만 같았다 여름날 저녁
세상의 모든 윤곽선들은 반듯하였지만
믿을 수가 없었다 오늘의 일과를 마치며
집으로 돌아가는 간선도로의 질주 아래
새 한 마리 날지 않는 추억의 박제가
또 산산이 깨어져 있었다

Chuck Mangione - Feels So Good with vocals by Don Potter

Album '70 Miles Young' 2003 (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https://youtu.be/kIgw3Byk_BY

 

Chuck Mangione의 가슴에 파고드는 트럼펫 연주를 Don Potter가 노래를 하는 이 곡을 참 좋아했었다.
 
There's no place for me to hide
로 시작하는 Don Potter의 첫 음성이
내 가슴을 흔들었지.
 
There’s no place for me to hide
the thoughts of all the times I've cried
and felt this pain that I have known
because I needed just to hear that special something.....
Your name is music to my heart....
 
우리 모두에게는 어딘가 숨을 곳이 필요한지 모르겠다.
편히 내려놓을 수 있는 곳.
 
김용택 시인이 말하듯
"어디 울 곳"이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어른이 되어도 필요한 안전지대.
 
내 가슴에 음악이 되어 들리는 이름들을 떠올려본다—
나에게 안전한 숨을 곳이 되어준 이름
내가 생을 마치는 날 내 곁에 음악으로 남을 이름
 
어스름이 내려오는 저녁 시간엔
트럼펫 소리가 참 잘 어울린다.
 
정말 오랜만에 들어본다.
역시 좋다..

바다와 나비 - 김기림(1939)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
흰 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청(靑)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삼월(三月)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나비 오늘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 이 프로그램은 아이 양육을 위해  공부하고 노력하지만, 어느새 내가 상처입었던 그 방식으로 아이를 대하는 자신을 발견하고 절망하는 양육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아이를 양육하는 양육자에게 도움이 되고 양육자 자신도 치유받는 글쓰기치료 실습이 포함됩니다.
(실습 중 쓰는 글을 비밀이 보장됩니다.)
❍ 프로그램 내용: 1)당신 모습 그대로 오십시오   2)내면 가족, 내면 아이    3)엄마의 기대가 나를 아프게 해요
❍ 프로그램 내용은 참여자 분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은 정말 삶에서 가장 놀라운 축복중 하나입니다. 축복인 이유는 당연히 그 놀라운 생명의 탄생과 성장을 함께하는 기적 같은 시간들 때문이지요. 어떤 것도 당연한 것이 없는 힘겹고도 아름다운 생명의 성장을 바라보는 경이로움 때문입니다.

(반드시 어린 자녀를 둔 부모가 아니어도 됩니다. 남들이 외면한 내면의 나도 내가 가장 먼저 양육해야 하는 아이이니까요.)
 
하지만 무엇보다 아이가 축복인 이유는 부모가 진정한 사랑, 가장 순수하고 힘겨운 사랑을 배우는 놀라운 과정이기 때문에 축복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어느 누군가를 위해서 그렇게 오래 고통받고(인내하고), 온유하고, 무례히 행하지 않고, 기꺼이 나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랑을 해본 적이 얼마나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어떤 경우라도 포기하지 않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소망하며, 모든 것을 견디는, 그래서 그 과정에서 부모 자신이 놀라운 성장을 이루는 여정이기에 가장 감사한 축복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양육을 위해서 많이 공부하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지적으로 안다고 해도 많은 분들이 어느새 내가 자란 방식으로 (상처 입었던 그 방식으로) 아이를 대하고 있는 자신을 만나고 소스라치게 절망하게 되지요. 어느 날 내 슬픔과 아픔을 가장 사랑하는 어린 아이에게 대물림하고 있는 나를 만나게 되기도 합니다. 어느새 아이 속에서 상처 입은 나의 모습을 만나게 되는 절망을 경험하기도 하지요.
 
왜 머리로는 아는데 안 될까요.... 이 워크숍은 이 질문에서 시작하겠습니다.

먼 곳이 생겨난다
나를 조금조금 밀어내며 먼 곳이 생겨난다
  ㅡ문태준

 

 

@NewYork

<그대 가까이 2 - 이성복>
          
자꾸만 발꿈치를 들어 보아도
당신은 보이지 않습니다
때로 기다림이 길어지면
원망하는 생각이 들어요
까마득한 하늘에 새털구름이
떠가고 무슨 노래를 불러
당신의 귓가에 닿을 수 있을까요
우리는 만나지 않았으니
헤어질 리 없고 헤어지지
않았어도 손 잡을 수 없으니
이렇게 기다림이 깊어지면
원망하는 생각이 늘어납니다

고독을 위한 의자 - 이해인

  홀로 있는 시간은
  쓸쓸하지만
  아름다운 호수가 된다
  바쁘다고 밀쳐두었던 나 속의 나를
  조용히 들여다 볼 수 있으므로
  여럿 속에 있을 땐
  미처 되새기지 못했던
  삶의 깊이와 무게를
  고독 속에 헤아려 볼 수 있으므로
  내가 해야 할 일
  안 해야 할 일 분별하며
  내밀한 양심의 소리에
  더 깊이 귀 기울일 수 있으므로

  그래,
  혼자 있는 시간이야 말로
  내가 나를 돌보는 시간
  여럿 속의 삶을
  더 잘 살아내기 위해
  고독 속에
  나를 길들이는 시간이다.

    -( [꽃삽]/샘터사2003)

벚꽃 지는 날에 - 김승동

  가끔 눈물이 날 때가 있다
  무엇 때문인지 모르겠고
  그래서 더 알 수 없는 눈물이
  푸른 하늘에 글썽일 때가 있다.

  살아간다는 것이
  바람으로 벽을 세우는 만큼이나
  무의미하고
  물결은 늘 내 알량한 의지의 바깥으로만
  흘러간다는 것을 알 때가 있다.

  세상이 너무 커서
  세상 밖에서 살 때가 있다.

  그래도 기차표를 사듯 날마다
  손을 내밀고 거스름돈을 받고
  계산을 하고 살아가지만
  오늘도 저 큰 세상 안에서
  바람처럼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
  나는 없다.

  누구를 향한 그리움마저도 떠나
  텅 빈 오늘
  짧은 속눈썹에 어리는 물기는
  아마 저 벚나무 아래 쏟아지는
  눈부시게 하얀 꽃잎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 2003년 시집 <외로움을 훔치다> (문화창작)
ㅡㅡㅡㅡㅡㅡㅡㅡ

photo by bhlee 

 

모란 터져버린 "찬란한 슬픔의 봄" -   5월이다.  

 

아파트 화단에 며칠 전 모란이 함박웃음처럼 화알짝 피었었다. 어제저녁 일부러 카메라를 가져갔지만 벌써 시들어가고 있었다.

모란꽃을 보면 내 맘에 살아계신 엄마가 생각난다.

어린 시절 우리 집엔 아주 큰 꽃밭이 있었다. 뒷마당 비스듬히 경사지게 만든 꽃밭에는 키 작은 채송화부터 맨드라미, 해당화, 모란, 샐비어, 칸나, 매화, 온갖 색깔의 장미, 사철나무, 무궁화, 찔레, 수국,.. 등등, 참 많은 꽃나무들이 (그리고 대추나무도) 있었다. 나는 언니 오빠가 모두 학교 가고 혼자 남은 오후, 쨍하게 깨질 듯한 정적 속에서, 그리고 현기증 나게 환한 햇살아래서 항상 꽃밭에서 놀았던 것 같다.  바닥에 뚜욱뚜욱 떨어진 꽃잎들을 주워서 돌로 찧어 혼자서 일인 몇 역을 하면서 소꿉놀이도 하고....  엄마를 찾아 부엌으로 가면 커다란 무쇠 솥들이 돌부처처럼 가부좌를 틀고 주르륵 앉아있고 그 아래 불 꺼진 아궁이는 오후의 정적만큼이나 거대한 암흑의 입을 벌리고 나를 삼킬 듯 쳐다보았다.  평소 따뜻하던 부엌은 나른하고 외로운 오후의 정적 속에서는 항상 그렇게 두려움을 주는 장소였다.  엄마는 늘 어딘가에서 일을 하고 계셨고 나는 참 외로웠다.

서울로 이사 오면서 유달리 꽃을 좋아하셨던 엄마는 모란꽃을 꽃밭에서 파서 싣고 오셨다.  서울에서도 몇 차례 이사를 갈 때마다 잘 견디어오던 모란을 어머니는 오빠가 마침내 아파트로 집을 바꿀 때 집 화단에서 우리 집 아파트 화단으로 옮겨주셨다.  못내 남의 손에 그 사연과 역사가 담긴 모란을 넘기고 싶지 않으셨던 어머니는 마침 우리 아파트가 1층에 있었기에 거실 바로 앞 화단에 그 모란을 심어주셨다.  엄마의 모란은 오랜 세월 죽지도 않고 참 감사하게도 봄마다 자줏빛 짙은 웃음을 벙실벙실 성실하게도 피워 올렸다.... 그리고 우리가 또 이사하면서 엄마의 모란은 그만  이제 남의 집 베란다 앞에 남겨지게 되었다.  가끔 그 아파트단지에 사는 언니를 방문할 때면 나는 일부러 내가 살았던 동엘 가본다.  베란다 앞 화단에 모란이 잘 있는지 보고 싶어서. 엄마가 돌아가신 후에도 모란은 내 기분때문에 그렇게 느꼈을 것이지만 전과는 달라보였다.  그래도 아직은 건강히 살아남아 몇 개의 짙은 색 꽃을 피우고 있었다. 올봄엔 가보지 못했다.  사실 두렵다. 그 모란이 어느 날 웃음꽃을 거두게 되는 것을 보는 게...

새벽에 어렴풋이 눈을 뜨면 엄마는 항상 라디오에서 새벽의 명상 프로그램을 듣고 계셨다. 잠결에 들려오던 음악은 타이스의 명상곡과 생상의 백조였다.  그 많은 일과 중에서 늘 책을 읽으시던 어머니.  나이 들어, 앉아서 졸고 계시는 어머니께 '엄마, 누워 자..' 하면 얼른 '아니다..' 하시고 다시 무언가 하시던 어머니.. "잠자는 시간은 죽은 거 한 가지인 데....." 하시며 살아 있는 시간들을 아끼시던 엄마. 

 

엊그제 동네에서 모란을 보았을 때, 엄마가 그리웠다.  엄마가 잠든 공원묘원은 봄이 되면 꽃이 유달리 아름다운 곳이라고, 그래서 자기는 봄에 늘 공원묘원으로 놀러 가서 다른 사람들이 하필 묘지로 봄나들이를 가는지 이상하게 생각한다던 Mrs. Patch의 말이 생각난다.  난 마음과 달리 엄마의 묘소에 혼자서 찾아가지 못했다. 그러면서도 엄마가 그립다고 말하는 게 참  염치없고 죄스럽다. (얼마 전 딸과 사위와 함께 엄마와 아버지, 오빠가 잠든 그곳을 찾아뵈었을 때 우리 마음처럼 안개비가 내렸었지... 아이는 그만 눈물을 터뜨렸지...)

 

어김없이 5/8일은 찾아오는데 나는 엄마를 찾아뵐 수 없다.  엄마의 얼굴을 볼 수가 없다. 친정이 이제 없다.

엄마.. 정말.. 죄송해요. 치매 병원에 계실 때도, 그렇게 그곳에 홀로 남겨지는 게 싫어서 정신이 하나도 없으신 분이 우리만 가면 집에 데려다 달라고 아기처럼 애교를 부리며 보채셨는데....  다른 사람 다 몰라봐도 그리 사랑하셨던 우리 딸이 가면 유난히 좋아하셨던 엄마.  일부러 곡기를 스스로 끊으신 엄마....  그때도 나는 내 고통에 함몰되어 허우적거리느라 자주 찾아뵙지도 않았다.  참 모질고 이기적인 나쁜 딸이었다. 인간은 얼마나 모질고 이기적인가.   내가 엄마 그립다 말할 자격이 있는 걸까?

 

후회란 얼마나 어리석고 무의미한 것인지....

사람들은 꼭 돌이킬 수 없을 때가 되어야 후회를 한다.
돌이킬 수 없는 후회란 안전 하다. 책임이 따르지 않으니까....

그래서 사람들은 돌이킬 수 없는 때에야 후회하는지 모른다.
그렇게 인간은 이기적이다. 

용서를 해 줄 이 이미 사라진 후에야 허공에 대고 용서를 구하는 이 이기심.


부끄러운 나의 사랑은 늘 그렇게 한 발 늦고야 만다.... (2008.5.8.)

----------------------------

2023.5.1.

올해는 어느 때보다 일찍 찾아온 봄 때문에 모란도 일찍 피었다 진 거 같다.
지난달 삼성서울병원에 갔다가 오면서 엄마의 모란을 보러 정말 오랜만에 예전 살던 "그 집" 앞 화단에 가보았다. 
고맙게도 두 주전 들렀을 때 꽃망울만 보여주던 모란이 그 사이에 활짝 피었다.  그리고 전보다 더 풍성해진 꽃나무!!! 

엄마 본 듯 반갑고 고마워서 가서 다시 한 번 고맙다고, 잘했다고, 이쁘다고... 말 걸어주고 돌아왔다. 
벌써 15년 전 이곳으로 옮겨 심은 (실은 55년전 지방에서 서울로 이사올 때  옮겨 온) 꽃나무가

몇 번의 이사를 견디고 저렇게 잘 살아주다니... 
뿌리가 더 깊이 넓게 가지를 쳐서 새가족을 이루며 이렇게 잘 살아주다니... 대견하고 고마웠다. 


오빠에게 모란 사진을 보여주었더니...  
오빠가 내 맘을 알기라도 했는지, 아니면 오빠도 같은 마음이었던지 (그곳 관리소의 동의를 얻고) 나와 함께 몇 뿌리 캐서 가져오려고 그곳엘 갔었다. 
그런데 어찌 뿌리가 깊이 내려 뻗었든지 허리가 무척 좋지 않은 일흔 중반 오빠와 손관절염으로 불편한 내게는 역부족이었다. 아쉽지만  다음에 장비를 더 준비해서 와야겠다며  그냥 돌아왔었다. 

 

그런데 어제 지난주 올케언니의 도움으로 몇 뿌리 어렵게 어렵게 파서 가져왔다고, 잘 키워서 자라면 나에게도 주겠다고 전화가 왔다. 
반갑고, 고맙고...   부디 잘 자라주기를 바란다!!!  하늘나라에서 엄마도 기뻐하실 것 같다. 그러셨으면 좋겠다. 
미국으로 가져갈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거야말로 꿈같은 소망일 뿐이지...... 

봄 과수원으로 오세요
석류꽃 만발한 곳, 햇살과 포도주와 연인들이 있어요.
당신이 혹 안 오신다면  이 모든 것이 무슨 소용 있겠어요.
당신이 혹 오신다면  이 모든 것이 무슨 소용 있겠어요.

                                             (루미/ 이봉희 역)

 

photo fr gardening books-Virginia Woolf's garden
(used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s)

----

 

내가 가 본 가장 아름다운 정원을 꼽으라면 당연히 모네의 정원 지베르니를 빼 놓을 수 없겠지만... 그보다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티니 컬리지의 정원이 더 먼저 떠오른다.

그곳은 "아, 좋다"라는 말조차 할 수 없는 아름다움과 고요함과 숙연함을 느끼게 하던 공간으로 내 가슴에 남아있다. 아무도 없는 어둑한 시간이었기 때문일까?

안개처럼 어둠이 내리는 그곳에서 같이 수업 듣던 일본에서 온 학생(선생)과 함께 아무 말 없이 한 동안 앉아 있다가 온 기억이 난다. 휴식과 사색의 공간!  의미 없는 소음에 지친 요즘, 그리고 나도 그런 의미 없는 말을 하고 있는 요즘, 그곳에 다시 가고 싶다. 버지니아 울프의 정원도!

 

그런데 시인은 말한다.
이 가슴 벅찬 아름다움이 당신이 없다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아니 당신이 있다면 또 이 아름다움이 무슨 소용이 있는지...

말이 없어도 좋은 사람. 아름다운 사람이 더욱 그리운 계절이다.